외교관후보자시험 국제정치학 서브노트
협력가설의 유형
dongohdongoh
2024. 3. 3. 15:19
자유주의 |
- 협력의 정의: 행위자들이 정책조정 과정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다른 행위자들의 실제 선호나 예상되는 선호에 조응할 때 생기는 것
1. 절대적 이득과 상대적 이득 및 상호성 가설
- 이득의 균형있는 배분이 협력을 가능케함. (절대적 이득 가설에서도 상호주의 전략을 통해서 이득의 균형있는 배분을 가져올 수 있음)
- 대표적 이론: J. Grieco의 상대적 이득 가설
2. 행위자의 수에 관한 가설
- M.Olson의 집단행동에 따르면, 행위자의 수가 증가하면 협력의 가능성이 감소함.
- 반대 견해 있음.
- 첫째, 국가가 배신 이상의 것에 관한 우려를 지닌다면 다수의 행위자가 협력에 더 나을 수 있음. 다수 행위자의 존재가 교환과 이면 보상을 위한 좀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.
- 둘째, 다수의 행위자를 여러 그룹으로 분리하여 그룹별로 조정을 통해 협력을 끌어낼 수 있음.
- 셋째, 좀 더 많은 행위자가 있는 경우 연합의 형성을 통해 자신을 보호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.
3. 반복 가설
- 게임이 반복될 때 협력의 가능성이 커짐. 왜냐하면 지속적인 협력의 가치가 특정 시점에서의 배신이 주는 혜택을 능가하기 때문.
- 그런데 이는 미래 시점의 이익에 대한 할인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
- 대표적 이론: R. Axelrod의 상호주의 전략
4. 국제레짐 가설
- 국제레짐은 배신의 문제를 완화하며, 거래비용의 감소와 정보 불균형의 완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국제협력을 촉진함.
- 한 이슈 영역에서 국제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국제레짐은 이슈 연계와 이면 보상을 통해 형평성 있는 협상을 촉진함으로써 다른 이슈 영역에서의 국제협력을 가져오는 데 이바지 할 수 있음.
- K.Oye, R.Keohane 등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자들의 이론
5. 권력 불균등 가설
- 권력상의 불균등(패권의 존재)이 협력을 조성함.
- Kindleberger의 지도자 안정모델